배당 13% 인상했는데 주가는 왜 빠졌을까? 월마트의 숨겨진 리스크
미국의 대표 경기방어주 '월마트'의 2024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재무성과를 먼저 확인하고 월마트의 2026년 영업전략에 대해서 간략하게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Let's Go!
1. 주요 재무 실적 (FY25 Q4)
- 총 매출: $180.6 billion (전년 대비 +4.1%, 환율 변동 제외 시 +5.3%).
- 영업 이익: $7.9 billion (전년 대비 +8.3%, 조정 기준으로 +9.4%).
- 전자상거래 매출 성장: 글로벌 기준 16% 증가.
- GAAP EPS: $0.65, 조정 EPS: $0.66.
- 회원 및 기타 수익: 17% 성장.
- 광고 비즈니스 성장: 29% 증가 (미국 Walmart Connect 24% 성장).
2. 사업 부문별 성과
월마트 미국 (Walmart U.S.)
- 매출: $123.5 billion (전년 대비 +5.0%).
- 동일 매장 매출 성장 (comps): +4.6%.
- 전자상거래 기여도: +20% 증가.
- 광고 매출: Walmart Connect 광고 매출 24% 성장.
월마트 인터내셔널 (Walmart International)
- 매출: $32.2 billion (환율 영향 제외 시 +5.7%).
- 전자상거래 성장: +4% (Flipkart BBD 일정 영향으로 성장률 하락).
- 광고 비즈니스 성장: 10% 증가.
샘스클럽 미국 (Sam’s Club U.S.)
- 매출: $23.1 billion (전년 대비 +5.7%).
- 동일 매장 매출 성장: +6.8% (연료 제외).
- 전자상거래 성장: +24%.
- 회원 수익 성장: 13% 증가.
3. FY26 (2026 회계연도) 가이던스
- 총 매출 성장: 3~4% (환율 영향 포함).
- 영업 이익 성장: 3.5~5.5% 증가.
- 조정 EPS 예상: $2.50 ~ $2.60.
- 자본 지출: 매출의 약 3.0%~3.5%.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는데요. 다만, 2025년 매출 성장률이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낮아서 주가는 어제 예민하게 반응했습니다. 2025년도 예상 EPS로 주가수익비율을 확인하면 대략 36배 정도 나옵니다. 아무래도 트럼프행정부의 관세정책이라든지 시장예상치보다 낮은 매출성장이라든지 소비심리위축이라든지 다소 어두운 전망들이 주가의 변동성을 더 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13% 높인 건 이례적인 것 같습니다. 10년 만에 최대폭으로 올렸습니다. 배당성향은 35~40% 수준으로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2025년에도 120억 달러의 자사주매입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럼 2025년 월마트의 영업전략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1. Walmart, eCommerce 및 광고 사업 확장 – VIZIO 인수의 의미
Walmart는 이번에 스마트 TV 제조업체인 VIZIO를 인수하였습니다. 이는 Walmart의 전자상거래 및 광고 사업 확장 전략과 연관이 있는 중요한 움직임입니다. Amazon의 Fire TV와 유사한 방식으로 TV 기반 커머스를 활성화하려는 전략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Walmart는 이제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도 고객의 쇼핑 경험을 최적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2. AI 기술을 활용한 운영 최적화 – ‘Wally’ AI 도입
Walmart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재고 관리와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Wally’라는 AI 시스템을 도입하여 상품 재고 및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고 부족 또는 과잉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또한 개발자를 위한 AI 코딩 도구를 도입하여 연간 400만 시간의 개발자 업무 시간을 절약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습니다. Walmart는 이러한 AI 시스템을 북미 및 인도 지역의 개발자들에게도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AI가 단순한 고객 응대 수준을 넘어 Walmart의 실제 비즈니스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GLP-1 다이어트 치료제 판매 증가 – 헬스케어 사업 성장
Walmart의 헬스케어 및 웰니스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중간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GLP-1 계열(위고비, 오젬픽) 비만 치료제의 판매 증가가 주요한 성장 요인이었습니다. Walmart 약국에서는 이와 같은 치료제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 관련 상품 및 일반 의약품 매출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GLP-1 의약품 시장이 Walmart와 같은 대형 유통업체에도 새로운 매출원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4. Walmart는 모든 소득 계층을 위한 유통 기업으로 변신 중
과거 Walmart는 저소득층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한 할인형 유통업체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들어 고소득층 소비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에서도 Walmart가 점점 더 많은 고소득층 고객을 유치하고 있음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고급 제품군 확대, 온라인 쇼핑 편의성 증대, 빠른 배송 서비스 개선 등의 전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Walmart+ 멤버십 가입자 수 증가 역시 이러한 변화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Walmart는 이제 단순한 할인형 유통업체를 넘어 모든 소득 계층을 위한 대형 리테일 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 Walmart의 물류 혁신 – 빠른 배송을 통한 경쟁력 강화
Walmart는 물류 및 배송 인프라를 강화하여 미국 가정의 93%가 당일 배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체 온라인 주문의 30% 이상이 1~3시간 내에 도착하는 익스프레스 배송 옵션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국, 신선식품, 일반 상품을 한 번에 묶어 배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더욱 효율적인 물류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Walmart는 Amazon과의 배송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월마트의 5가지 영업전략을 확인해 봤는데요. AI의 변신과 적용이 실생활에서 적용되기 시작한 걸 느낄 수 있습니다. 아마존과의 경쟁에서 이기려면 고객이 아는 듯 모르는 듯 스무스하게 고객의 생활권으로 침투하려는 전략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미 강력한 네트워크 망과 로열티 고객을 확보하고 있고 이에 더불어 AI를 접목해 매출을 최적화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연초에는 실적 전망을 다소 보수적으로 잡는 경향이 있긴 하기 때문에 후반부로 갈수록 매출이 늘어날 경향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좀 더 시간을 갖고 월마트의 퍼포먼스를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로벌 테크기업들의 카펙스투자 행방을 아직 모르고 또 글로벌 테크기업 이외의 다른 대안도 없는 시기가 되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발 빠른 구루들은 이미 경기방어주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했습니다. 개미들은 어떤 전략을 가져갈까요? 월마트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하네요.
감사합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