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엔비디아 4분기 실적 리뷰: 기뻐도 기뻐할 수 없는 순간?

주끝 2025. 2. 28. 06:00
반응형

엔비디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을 좀 했었는데 의외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실적은 여전히 좋지만 기뻐도 기뻐할 수 없는 순간이 지금의 엔비디아가 아닌가 싶습니다. 재무성과를 확인하고 2025년 전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Let's Go!

 

1. 매출 & 총마진

  • Q4 FY25 매출: $39.3B (전년 대비 +78%, 전분기 대비 +12%)
  • FY25 전체 매출: $130.5B (전년 대비 +114%)

총 마진 (Gross Margin):

 

  • Q4 FY25: 73.0% (전년 대비 -3.0% p, 전분기 대비 -1.6%p)​
  • FY25 전체: 75.0% (전년 대비 +2.3%p)​
  • 데이터센터 매출 증가로 연간 마진 상승, 그러나 AI 시스템 복잡성 증가로 인해 분기별 총마진 감소​

분기별 매출 및 총마진추이

 

총마진이 감소했습니다. 그래도 높은 수치지만 투자자들에겐 미묘하게 다르게 다가올것 같습니다. 

 

 

2. 영업이익 & 영업이익률

  • Q4 FY25 영업이익: $24.03B (전년 대비 +77%, 전분기 대비 +10%) 
  • FY25 전체 영업이익: $81.45B (전년 대비 +147%) 

영업이익률:

  • Q4 FY25: 61.1% (전년 대비 +0.1%p, 전분기 대비 -1.0%p)
  • FY25 전체: 62.4% (전년 대비 +9.4%p).
  • R&D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AI 가속화 수요로 높은 수익성 유지​

3. 순이익 & 순이익률

  • Q4 FY25 순이익: $22.09B (전년 대비 +80%, 전분기 대비 +14%) 
  • FY25 전체 순이익: $72.88B (전년 대비 +145%) 

순이익률:

 

  • Q4 FY25: 56.2% (전년 대비 -0.5%p, 전분기 대비 +0.9%p).
  • FY25 전체: 55.8% (전년 대비 +5.9%p).
  • AI 기반 데이터센터 수익 증가가 주요 원인​.

영업이익&순이익 추이

 

 

 

4. 현금흐름

  • Q4 FY25 영업현금흐름: $16.6B (전년 대비 +44%) 
  • FY25 전체 영업현금흐름: $64.1B (전년 대비 +128%) 

자유현금흐름 (FCF):

 

  • Q4 FY25: $15.52B (전년 대비 +38%)​
  • FY25 전체: $60.72B (전년 대비 +125%)​
  • AI 칩 생산 증가 및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인한 운전자본 증가​

5. 섹터별 매출 (Q4 FY25)

부문 매출 (Q4 FY25) 전년 대비 변화
데이터센터 $35.6B 93%
게이밍 $2.54B -11%
프로페셔널 비주얼라이제이션 $511M 10%
자동차 $570M 103%
OEM 기타 $126M 40%
  • 데이터센터 매출이 전체 매출의 90% 차지, AI 기반 컴퓨팅 증가가 주요 원인 
  • 블랙웰 4분기 매출에 29% 차치
  • 게이밍 부문은 공급 부족으로 감소 

파이차트로 보는 섹터별 판매비중

 

시각화된 그래프로 본 섹터별 영업이익을 보면 데이터 센터향이 지나치게 의존적인게 아닌가 싶을정도 높습니다. 

 

6. 2025 전망

  • Q1 FY26 매출 예상: $43.0B (±2%) 
  • 총마진: GAAP 기준 70.6%, Non-GAAP 기준 71.0% 
  • 영업비용: GAAP 기준 $5.15B, Non-GAAP 기준 $3.6B 
  • AI 시장 성장 지속, 데이터센터 확장 기대 

 

2025년 1분기 전망을 기준으로 2025년 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해보았습니다. 

 

 

  • Q1 FY26 예상 EPS: $0.978
  • 2025년 연간 예상 EPS: $3.91
  • 현재 주가 ($131) 기준 예상 PER: 33.48배

이 정도 배수면 주가가 고평가 혹은 저평가라고 할 수 없는 현재 엔비디아의 벨류에이션이 다 반영된 주가가 아닌가 싶습니다. 3주전에 엔비디아관련 포스팅을 하면서 스타게이트프로젝트의 규모와 글로벌 기업의 2025년 카펙스투자규모를 간단히 확인했습니다. 2024년에 비해 크게 규모가 늘어나는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Stargate Project(5000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에 핵심 기술 파트너로 참여​

 

 

자율주행과 로봇관련 플랫폼이 2025년에는 어느정도 윤각이 들어나는해가 되야할 것 같습니다. 2026년에는 그 기술들이 본격화되어야 엔비디아의 주가도 오를 수 있는 여지가 생길 것 같습니다. 3월의 GTC에서 젠슨황은 어떤 신기술 혹은 혁신을 가져올지 전세계의 귀추가 주목되는 바입니다. 그럼 엔비디아 4분기 실적발표 리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