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현재, 코스피 지수가 2,600선에서 방향성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정부의 관세 공격으로 미장이 안 좋기에 국장을 싫어함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위험 헷징이 필요하다 싶어서 준비해 봤습니다. 뭐 하나 사고 싶은 것이 없기 때문에 지수로 당분간 고조된 관세 스트레스를 좀 해소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한국사람은 파이팅 넘치는 베팅의 민족이기에 그냥 지수플레이는 싫죠. 최소 2배는 돼야 들어갈만하니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KODEX 레버리지 ETF(122630)! 최근 급락 이후 월봉 기준 120일선 아래에서 눌린 상황인데요. 지금 구간이 추세 전환 전 ‘눌림목(Pullback)’인지, 아니면 더 깊은 하락을 앞둔 ‘산 어깨(Dead Cat Bounce)’ 인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분석해보겠습니다. 그럼 Let's Go!
✅ 현재 위치: 월봉 기준 120이평선 ‘하단부’
- 현재가: 14,635원
- 월봉 120선(장기 추세선)은 약 16,000~17,000원대
- 2023년 저점(6,165원)에서 3배 이상 상승 후, 현재 -30% 조정
📌 기술적으로는 '상승 1파 → 눌림 2파' 구간일 가능성
🎯 눌림목(Pullback)일 가능성 – 왜 유효한가?
✅ 이전 상승파동 | 6천원 → 2.1만 (240% 상승) | 강력한 1파 존재 |
✅ 조정폭 | 고점 대비 약 -30% | Fib 38.2~50% 부근 |
✅ 조정기간 | 약 7~8개월 | 충분한 시간 조정 |
⚠ 기술 패턴 | 이평선 수렴 중, 거래량 감소 | 확정 아님 (추세 전환 전 단계) |
❗ 반등 시그널 | 장대양봉 + 거래량 동반 필요 | 아직 없음 |
🔎 종합: 눌림목 가능성이 더 크지만, 방아쇠는 아직 안 당겨짐
📉 그럼 산 어깨일 가능성은?
‘산 어깨’는 보통 1차 반등 후,
추세가 꺾인 것을 인지하지 못한 매수세가 마지막으로 유입되는 구간입니다.
- 지금 위치는 이전 고점 대비 중간값에 해당
- 이평선 정배열 아직 없음
- V자 반등 아닌 지그재그식 약 반등
👉 즉, 추세 전환 실패 시 재차 하락 리스크도 존재
🎲 확률로 보는 시나리오별 전망
📈 상승 재개 (18,000원 이상) | 코스피 반등, 외인 매수 전환 | 55% |
🔄 횡보 지속 (13,000~16,000원 박스) | 수급 중립, 실적 중립 | 30% |
📉 재차 하락 (~12,000원대 테스트) | 매파적 연준, 지정학 리스크 | 15% |
💡 전략적 투자 포인트
진입 시점 | 지금은 ‘분할진입 구간’으로 적절 |
손절 기준 | 12,000원 하회 시 리밸런싱 검토 |
목표 수익구간 | 18,000~19,000원대 (박스 상단) |
추세 확인 후 대응 | 120선 돌파 + 거래량 터지면 추매 |
지금은 시장이 확신을 주지 않는 구간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확신은 항상 뒤늦게 오고, 기회는 조용히 찾아옵니다. KODEX 레버리지의 현재 위치는 위험과 기회가 공존하는 눌림목 구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전문가들은 기회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유튜브와 팟캐스트에서 뭔가를 가지고 나와서 얘기할 때는 이미 '매도' 신호겠죠? 오늘 그냥 코덱스 레버리지 그래프를 보고 그냥 그런 느낌이 들더라고요.
“기회를 기다릴 것인가, 준비할 것인가”
그 선택은 항상 투자자 본인의 몫입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해외주식 > 기업분석 더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1분기 실적 요약 – 수익은 꺾였고, 미래는 달린다 (2) | 2025.04.23 |
---|---|
이번 주 실적 발표 켈린더(4월21~25일) (1) | 2025.04.22 |
넷플릭스 주가 1,000달러 돌파… 그런데 스플릿은 왜 없었을까? (1) | 2025.04.18 |
공포에 주식을 살 수 있는가 – 하워드 막스가 남긴 질문 (0) | 2025.04.15 |
이번 주 실적 발표 캘린더 (2025년 4월 8일 ~ 11일) 🌸 (3)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