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기업분석 더하기

대세상승의 서막(feat 두둥)

주끝 2020. 10. 27. 15:03
반응형

글쓰기에 앞서 

 

지그윽히 개인적인 의견과 비전문가의 뇌피셜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뭔가 상승하는 느낌적인 느낌들을 기사화 함께 버무려 봅니다.  저는 박세익 전무님(인피니티 투자자문) 의 평소 투자철학과 시황분석을 좋아 합니다. 결론적으로 '내년 장은 올해보다 더 좋아 질 것이다'라는 내용을 여기저기서 말씀하시는것 같아서 저도 좀 그런 긍정 '신호'를 좀 나름대로 찾아봤습니다. 제 블로그 글을 읽고 계신 투자자 분들도 공감이 되는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포착한 주가 상승의 신호는 4가지 입니다. 

 

 

첫째, 무역수지 흑자~ 

 

둘째, 선박 운임가격~ 

 

셋째, 저 딸라 ~ 

 

냇째, 대기업의 매각 및 물적 분할~ 

 

 

위의 4가지를 하나씩 나열해 보겠습니다. 

 

첫째, 무역수지 흑자!  골드만 삭스에서 한국의 무역수지가 BELLWETHER(벨을 단 길잡이 숫양)로 양때를 이끄는 리더 양 격으로 보고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9월달 뉴우스를 봐도 헛 ! 뭔가 스믈스믈 올라오는게 느껴집니다. 첨단 제조업의 메카인 한국의 무역수지가 좋아지고 있다는 것은 세계 경제도 좋아지고 있다는 긍정신호로 받아 들일 수 있다고 봅니다 전 ㅎㅎ.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01001.99099000006

 

9월 수출량 +7.7%… 무역수지 5개월 연속 흑자

우리나라 수출이 7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하며 코로나19 회복세를 이뤄내려는 모양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수출이 작년 동기 대비 7.7% 증가한 4..

www.kookje.co.kr

둘째, 컨테이너선이고 벌크선이고 운임이 엄청 비싸졌습니다. 컨테이너선은 상품 및 완제품을 벌크선은 원자재를 운반하는 용도이죠. 이 두 가지 다 공급(운반선) 이 수요(물동량)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입니다. 이러한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를 뚫고 나오는 긍정 신호라고 생각이 해요. HMM(해운사)주가 한번 찾아보시면 이해되실것 같아요. 이번에 흑자전환 가능할것으로 보이는데 얼마나 이익이 날지 궁금하네요. 

구글 검색 결과 

 

최근 택배기사님의 죽음으로 이슈 화된 물류창고 직원들과 택배기사들의 고된 업무강도도 그 이면엔 수요

를 따라가지 못하는 공급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더해  고정비를 줄이기 위해 인력 증원을 하지 않은

비상식적인 회사들 정책적 실패도 현재의 택배사태를 일으킨 주범이죠. 

 

셋째, 트럼프가 돈을 너무 많이 뿌린 탓일까요?  원화로 1000조 정도니 어마어마한 양의 돈을 시중에 풀었습니다. 아니면 트럼프의 시대는 가고 블루 웨이브 ~ 로 미국 정권이 바뀔까요? 정치역학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저 딸라의 뒤에는 중국의 위안화 강세가 있다는 것은 분명 한것 같습니다.  포스트 코로나의 선두에 서서 지지고 복고하니 경제 성장률도 오르고 중국기업들의 실적들도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2년 정도 박살난 중국 자동차 업계도 2분기서 부터 턴어라운드 하는 모습을 보여 줬구요.  전체적인 중국 기업의 실적이 바탕이 되어 투자자들이 미국에 중국으로 리턴하고 있는 모양새 입니다. 미국 대선이라는 메인 정치이벤트를 떠나서 실적 상승으로 인한 상승장이 오고 있다는 뉘낌적인  

 

뉘낌이...   

 

https://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32824

 

[LoveFund 이성수 대표] 달러약세시대 : 주식시장에 새로운 판이 시작되는

이성수 투고 편집한 주식 시장 분석: . 이성수 투고 의 Investing.com에 관한 주식 분석을 한번 읽어보십시오.

kr.investing.com

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0060985681

 

달러 약세, 유가 상승…"신흥국 반등 신호"

달러 약세, 유가 상승…"신흥국 반등 신호", 러시아 지수 연고점 30% 남아

www.hankyung.com

 

그리고 마지막으로 국내기업들의 활발한 분할 및 매각 이슈들 입니다. 

 

LG화학, SK텔레콤, 두산 중공업, SK이노베이션 등등 대기업들의 매각, 물적분할, 지배구조 개선의 활동들이 가시화 되고언론에서도 많이 보도를 하고 있습니다. 저번 포스트 글에서도 언급을 한번 한적 있었죠. '물들어올때 노젓는다'라고 어느 어떤 기업이 경기침체의 시기에 투자 유치를 하고 핵심 자회사를 시장에 내다 팔겠습니까.  경매에서 나온 물건들아닙니다.  싼 값에 팔려 하지 않겠죠. 제 값 받고 매각하고 투자금도 확 땡겨서 실탄을 두둑히 가져가려 하고 있습니다. 이 노력의 밑바탕엔 견조한 실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3분기 실적은 좋을 수 밖에 없겠구나 생각하는 이유 입니다. 

 

johnbur.tistory.com/48

 

LG화학의 물적분할과 나(찐개미)

안녕하세요. 어제 장 30분전에 LG화확 물적 분할이 확실 시 된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시장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LG 화학의 분할 소식에 찐 개미들은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까요? 시중 경제

johnbur.tistory.com

 

추가적으로 제가 위의 포스팅에서 언급한 내용에서 추가적으로 물적분할을 비교 설명해준 기사가 있어서 공유합니다.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20/10/20201026408952.html

 

LG화학과 SK텔레콤의 물적분할에서 닮은점과 다른점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LG화학이 배터리 사업을 떼내 물적분할로 신설법인 LG에너지솔루션을 출범하려는 것과 때맞춰 SK텔레콤도 모빌리티 사업을 물적분할로 분사해 티맵모빌리

www.joseilbo.com

 

그럼 다들 행복한 투자자가 되는 그날까지 열심히 포스팅 하겠습니다.

 

성투하세요. 

-꾸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