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주린이 끝판왕입니다.
한달에 한번 올리는 분석글입니다.
오늘 포스팅할 상장회사는 HPSP(High pressure service provider)입니다.
2022년 상장한 회사로 뭔가 고압에 특화된 제품을 판매한다는 느낌을 이름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어요.
투자아이디어는 딱 1가지 입니다.
워렌 버펫이 언급한 '경제적 해자'를 가진 회사입니다.
경쟁제품이 없다?는 것을 사업보고서 상에 당당히 기재해 놨네요. 기술력에 대한 자부심 인정!
그럼 무슨 기술을 가지고 있나?
문과로서 설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분명한것은 반도체의 회로패턴이 미세화 되면서 소자의 계면결함(interface defect) 등의 문제점이 발생이 된다고 하네요. 뭔가 계면? 표면? 에 문제가 있는데 이걸 GENI-SYS라는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로 어느 정도 개선이 가능하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오테그닉스에서도 만드는 어닐링 장비인데 특이점은 고압이면서 온도가 기존 어닐링 장비보다 많이 낮다는 게 이 회사가 가진 기술력인 것 같고요. 압력으로만 따진다면 압력밥솥의 10배 정도의 고압이라고 합니다.
또한, 소재의 계면결함을 일으키는 High-K 소재는 유전율이 높아서 기존 SIO2를 대채하고 있는 상황이라 향후 더 많은 미세화 공정에 필요하고 따라서, 고압 수소 어닐링 장비도 시스템반도체뿐만 아니라 메모리반도체에도 필요하게 될 거라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인 것 같습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2U7DA2D9H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High-K 특집: 'High-K'는 왜 업계의 슈퍼스타일까?
산업 > 기업 뉴스: '하이(High)-K'라는 반도체 용어, 혹시 들어보셨나요? 저는 올해 기사를 쓰면서 이 용어를 정말 많이 들었던 것 같습...
www.sedaily.com
좋긴 좋은것 같은데 매수하기엔 살짝 걸리는 게 2가지가 있어요.
첫째, 이미 장비 다 판거 아닌가? 꼭지 같은데...
매출 성장성이 계속 낮아지고 있죠 144%>50%>26%
아... 아쉽네... 그럼 내년 반도체 장비시장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 2023년도 반도체 시장 규모는 대략 700조 정도. 세분화해보면 시스템 반도체 500, 메모리반도체 200 정도로 시장을 구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중 반도체 장비시장은 대략 100~125조 정도가 되는 것 같고 2022년이나 2023년이나 비슷한 수준이 될 거다...라고 전문가들은 전망을 하는 것 같네요. 성장성이 두드러지지 않으니 이런 의심이 가네요.
2023년 이후에 고꾸라지겠네 ?
이 질 분에 대한 답을 할 수 있는 분 모십니다 ㅎㅎ.
두 번째 위험요소는 시장의 흐름과 반대되는 영업전략!
바야흐로 시스템 반도체가 미래의 먹거리다라고 삼성전자가 선언을 하고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근데, HPSP는 반대로 메모리 반도체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한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이미 시스템반도체 및 종합반도체 그리고 팹리스에는 이미 다 팔았네?라고 강한 의심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시스템반도체가 500억 시장이고 메모리는 그에 1/2도 안 되는 200억 시장인데 말이죠...
그렇다면 2022년 예상치 800억 수준에서 200억 정도 추가한 1000억 정도가 2023(e)라고 가정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영익률도 좋고 순익률도 좋고 ROE도 좋은데 딱, 1000억이 멕시멈이라면 지금의 시총은 적절할까요?
2023년 1월 10일 현재가 1조 1천억 원인데... 딱, 적당한 수준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네요(PERe 10).
기술력이 넘버원인데 제가 너무 보수적인가요? 좀 더 보수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 더 있습니다.
주주현황을 살펴보면 이런 조합, 저런 조합 그리고 사모투자회사 등등 투자로 들어온 주주들이 많아요. 이들 조합들 지분은 올해 초까지 계속 줄어들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나마 좀 위안이 되는 것은 한국최초의 반도체 회사 한미 반도체의 곽동신 회장님이 지분을 갖고 계신걸 보니 기술력은 인정하고 갈 수 있는 부분이 될 것 같네요 ㅎㅎ.
2022년 7월 상장 이후 6개월이면 딱 지금 요맘때네요. 최대주주를 제외한 기존주주들의 매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요약해보면 HPSP는 하기와 같네요.
장점 : 독보적인 기술력
단점: 반도체장비업황의 꼭지(?), 그리 높지 않은 성장성 그리고 기존초기투자자들의 엑싯으로 인한 주가하락예상
매력적이지만 확신은 가질 수 없는 상황(?) 요 정도로 한줄평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추가적으로 회사에 질문을 좀 하고 기회가 되면 그 내용도 업데이트하도록 할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는 본인의 몫, 제 글은 참조 만요.
꾸벅
반응형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교역(feat파파이스) (0) | 2023.03.08 |
---|---|
에스엠 주가 및 배당전망(041510) (2) | 2023.02.24 |
서원인텍(093920) (1) | 2022.07.07 |
PI첨단소재 (0) | 2022.03.10 |
ES 큐브 2 (0) | 2022.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