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기업분석 더하기

공매도금지 과연 증시에 이로울까?

주끝 2023. 11. 6. 09: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린이 끝판왕입니다. 

오늘부터 공매도가 전격 금지되었는데요.

과연 증시에 도움이 되는 걸까요? 

 

재미있는 게 뉴스에 댓글이 정답인 것 같아서 링크했습니다.

대한민국 주주들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도 열심히 균형을 잡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댓글로 집단지성을 확인해보세요 ~ ~~~

https://www.youtube.com/watch?v=NBZJmS8SVsc

 

 

공매도 금지 관련 이런저런 얘기들을 많이 하는데 저는 그냥 역사적으로 코스피지수를 한번 확인해 봤어요. 메크로 적인 수치이니 개별 주식과는 무관하다는 점 일단 말씀드립니다. 

 

공매도 전면금지가 이번에 시행되는것 포함 총 4번 있었어요. 큰 위기 때 한 번씩 있었으니 지금도 큰 위기다라고 정부가 인식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위기가 터지기 전에 조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가 생각이 되거든요. 기존 3번의 공매도 금지는 외부적인 충격에 대한 반작용이었다면 이번건 내부적인 문제를 미리 알고(?) 시행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다만,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내년 총선용이다라는 평이 많습니다. 저도 그렇게 느끼고 있고요. 이에 더해 저는 부동산 문제도 어쨌든 표면으로 올라올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방어차원에서 주식 쪽을 미리 대비하는 느낌도 들고요. PF 파이낸싱과 미분양 그리고 서울 매도물량 증가~ 부동산 지표가 최악으로 향하고 있는 걸 알고 있겠죠. 기본적인 룰을 재정비하지 않고 이렇게 규제를 하는 걸 보면 엘리트주의에 너무 빠져있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각설하고 이전 3번의 공매도 금지 시기에 주가는 어떻게 흘렀는지 한번 살펴볼게요. 

 

1. 2018년 10월 1일 ~ 2009년 5월 31일 

 

미국의 금융위기로 인한 공매도금지였죠. 공매도 기간 동안 주가는 하락했고 다음 연도 5월까지 2018년 10월 이전의 주가를 회복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1차 공매도금지

 

2. 2011년 8월 10일 ~ 11월 9일 

 

대략 4개월 정도 공매도 금지가 있었네요. 유럽위기가 있었죠. 이때도 공매도금지 후 하락! 

 

2차 공매도금지

 

3. 2020년 3월 16일 ~ 2021년 5월 2일 

 

코로나 위기 때죠. 공매도 금지기간 동안 살짝 주가가 빠졌지만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보여서 한 줄만 그었습니다. 

 

 

1,2,3 글로벌 위기 때의 공매도금지는 사실상 어떤 효력이 있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글로벌 위긴데 뭘 어찌할 수 있겠냐 싶기도 하고요. 자연스러운 조정국면이었고 그 이후 주가는 우상향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지수만 놓고 보자면 글로벌 자금이 빠져나간 후 공매도금지기간 동안 지수는 하락국면이었고 그에 따라 주주들도 보호받지 못했다는 것이 기존의 공매도금지기간 동안의 역사입니다. 

 

그리고 이번이 4번째 공매도금지! 

 

글로벌 위기가 터지지 않았고 사전적 공매도금지. 

위기의 상황에서 사후적으로 행해오던 공매도금지를 위기 전에 미리 했다는 점에서 기이하고

정치적 이벤트에 앞선 시기에 이례적으로 행하는 정책이라 더 노골적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공매도금지기간 동안 코스피지수는 오르지 않았다는 점. 

 

종목의 상저는 결론적으로 그 종목의 가치에 결국 수렴한다는 법칙에 입각하여 봤을 때 시장의 자연스러운 조정을 다시 한번 거스르고 시행하는공매도금지가 시장과 주주에게 이로울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바꿀 것은 명확한데 말이죠. 

 

 

감사합니다. 

꾸벅

 

 

반응형

'해외주식 > 기업분석 더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담과통화(아셈스)  (2) 2023.11.21
2023년 배당락일  (0) 2023.11.17
엔터주최선호!!!  (3) 2023.06.14
챗GPT로주식하기2  (0) 2023.05.31
챗GPT로주식하기  (2) 20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