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기업분석 더하기

M7이 투자 멈추면 엔비디아는 어떻게 될까? 매출 구조 긴급 분석

주끝 2025. 3. 11. 06:00
반응형

 

 

엔비디아(NVIDIA) 2025년에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 잡을 것인가? 현재 시장은 확신을 갖지 못한 듯합니다. 포워드 P/E(Forward PER) 20 수준이라는 숫자가 이를 방증합니다. 고평가 논란이 있던 주식이었으나 이제는 시장조차 엔비디아의 성장 속도를 가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엔비디아의 성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해답은 M7 기업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메타(Meta), 아마존(Amazon), 구글(Google), 테슬라(Tesla), 애플(Apple)** 쥐고 있습니다.  이전에 실적관련해서 올렸던 포스팅에 이어 엔비디아 매출에서 얼마나 많은 비중을 빅테크가 차지하고 있는지 분석해봤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Let's Go! 

 

2025.02.27 - [분류 전체보기] - 엔비디아 4분기 실적 리뷰: 기뻐도 기뻐할 수 없는 순간?

 

엔비디아 4분기 실적 리뷰: 기뻐도 기뻐할 수 없는 순간?

엔비디아 4분기 실적이 발표되었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을 좀 했었는데 의외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실적은 여전히 좋지만 기뻐도 기뻐할 수 없는 순간

johnbur.tistory.com

 

 

 2025 M7 블랙웰(GB200) GPU 구매 전망

2024 4분기부터 출하된 블랙웰(GB200) GPU 엔비디아의 새로운 성장 엔진입니다.
칩의 성능은 전작 대비 최대 30 향상되었으며, M7 기업들의 대규모 주문이 엔비디아의 2025 매출의 77.5% 차지할 전망입니다.

 

 기업별 블랙웰(GB200) 구매 예상 규모

기업 예상 구매량(GB200 GPU, 2025) 구매 금액(USD)
마이크로소프트 50,000 30 달러
메타 400,000 240 달러
아마존 400,000 240 달러
구글 400,000 240 달러
테슬라 (xAI 포함) 300,000 180 달러
애플 0 없음
합계 1,550,000 930 달러
  • M7 블랙웰 구매 금액: 930 달러 (93 billion USD)
  • 2025 엔비디아 예상 매출: 1,200 달러 (120 billion USD)
  • M7 블랙웰 구매가 엔비디아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77.5%

, 2025 엔비디아의 매출 10달러 7.75달러는 M7 지불하는 셈입니다.
수치는 상당히 의미심장합니다. M7 AI 투자 속도를 늦춘다면, 엔비디아의 실적도 바로 영향을 받을 있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M7 의존도가 너무 크다는 시장의 고민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의 미래를 낙관하기 어려워하고 있습니다.이유는 간단합니다. M7 AI 투자 속도를 늦추면, 엔비디아의 성장이 주춤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지금까지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해왔습니다.그러나 2025년부터는 M7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시점에 놓이게 되었습니다.바로 여기에서소버린 AI(Sovereign AI)’ 주목받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새로운 기회: 소버린 AI(Sovereign AI); 젠슨황이 언급했던 소버린 AI 의 개념을 그대로 가져온것은 아니고 세계각국이 AI에 전력으로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AI 인프라 투자는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해왔습니다.그러나 최근 들어 각국 정부와 공공기관들이 독자적인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AI 주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정책 기조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주요 국가들의 AI 투자 흐름

  • 유럽연합(EU): 자체 AI 슈퍼컴퓨터 개발 프로젝트 착수
  • 중국: 엔비디아 GPU 수입 제한에도 불구, AI 반도체 국산화 정책 가속
  • 일본: 정부 주도로 AI 데이터센터 확충, 엔비디아 대량 구매 추진
  • 한국: NPU(Neural Processing Unit) 산업 육성 AI 반도체 인프라 투자 확대

이처럼 나라단위로 대규모투자가 간다면 엔비디아에게 다른 성장 기회가 가능성이 큽니다.
M7
과도하게 집중된 매출 구조를 다변화할 있는 대안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율주행과 로봇 플랫폼이 충분히 매출을 일으킬 수 있을 때까지 지속적인 캐시카우역할을 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M7 의존도가 높다는 점은 분명한 리스크입니다.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엔비디아의 성장 가능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앞으로 엔비디아는 M7 넘어 소버린 AI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미 일부 국가들은 엔비디아 GPU 대량 구매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의 AI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소버린 AI" 엔비디아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있을지를 분석할 예정입니다.M7 중심의 엔비디아 매출 구조가 언제까지 지속될 있을지, 그리고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다음 승부수가 무엇일지 살펴보겠습니다.AI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지금,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의 다음 행보를 주목해야 합니다. 아직 엔비디아를 저버리기에는 너무 이른 시점일지도 모릅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