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기업분석 더하기

PER 60배, 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무너지지 않는가?

주끝 2025. 1. 23. 15:13
반응형

 

주식시장 내외적으로 참 힘든 시기였던 2024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꾸준하게 퍼포먼스를 내면서 주가수익비율은 60배나 되었지만 무너지지 않는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래서 궁금했습니다. 왜 삼바는 다른 상장주식들과는 다른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는지... 그럼 시작해 보겠습니다. 

 

네이버증권캡쳐가공

 

 

포워드 PER 가 60이라는것은 2024년 예상실적이 이미 반영된 부분입니다. 그래서 매출증감을 찾아봤습니다. 연매출 증가율이 60% 정도 나오면 이해가 되는 부분이 될 것이라는 가정에서 입니다. 2022/2023/2024년 매출액 성장은 23%로 견조했는데요. 견조한 성장만으로는 포워드 PER 60배를 이해하기는 힘들단 생각입니다. 그래서 삼바의 '시장 점유율'과 '타깃 시장 규모'를 확인해 봤습니다. PER 높은 회사일 수록 '성장성'이 높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리고 이 성장성은 '타깃시장의 시장규모'가 얼마나 확장성이 있는지에 달려있는 것 같습니다.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203억 달러 규모였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은 연평균 15.3% 성장하여 2028년에는 약 47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2025년에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이 전년 대비 13.7% 성장한 24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삼바의 타겟 시장인 위탁개발생산시장은 248억 달러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가지고 삼바의 마켓셰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매출기준으로 계산해 보니까 15.3% 정도가 나왔습니다. 이 시장에서 1위 회사치고는 삼바의 점유율이 좀 작은 것 같습니다. 

마켓 쉐어가 좀 작아보이는데...

 

 

좀 부족해보이는케파는 2025년 예상실적으로 보완하려고 합니다. 2025년에 캐파증설이 완료가 된다는 뉴스(제5공장)가 있습니다. 계산은 생략하고 결론만 확인해 보면 하기와 같습니다. 

 

 

  • 2025년 캐파 반영 예상 매출: 약 49.2억 달러
  • 마켓쉐어: 약 19.8%

 

20%의 마켓셰어와 2028년 마켓규모를 사용해서 삼바 매출액을 계산했고 2024년 예상실적으로 순이익률 28.5%로 예상순이익을 계산했습니다. 적용환율은 1350원으로 지금과 달리 다소 안정된 경제상황으로 가정했습니다. 그래서 도출된 2028년 예상 주가수익률은 대략 20배입니다. 4년 동안 3배 성장이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 2028년 예상 매출: 약 12조 8,790억 원
  • 2028년 예상 순이익: 약 3조 6,396억 원
  • 2028년 예상 PER: 약 20.6배

 

여기까지 읽으셨으면 지금의 고 PER 를 이해하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위의 데이터를 가지고 마지막으로 2025년 초부터 2028년 말까지 4년 동안의 삼바의 연평균 매출성장률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우!

 

연평균 매출성장률이 30%가 나왔습니다. 요즘 대세인 AI 반도체 주식들과 어깨를 견줄 만한 성장률이 아닌가 싶네요. 높은 PER 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주가흐름 뒤에는 3가지가 있는것 같습니다. 

 

첫째, 견고한 매출성장

둘째, 마켓쉐어증가(캐파확장)

셋째, 타깃시장규모의 꾸준한 성장

 

결론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꾸준한 매출 성장, 시장 점유율 확대, 그리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타겟 시장이라는 강점을 기반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PER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단순한 현재 실적이 아니라, 미래 성장성에 대한 시장의 신뢰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이 글은 특정 종목을 추천하거나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의 성장성과 그 안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글입니다. 투자는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충분한 검토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향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보여줄지, 그리고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얼마나 더 확장될지 기대되며, 이 글이 여러분의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