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네이버가 있다면 미국에 네이버와 비슷한 기업은 구글인 것 같습니다. 알파벳(구글) 2024년 4분기 실적이 나왔습니다. 좀 더 흥미로운 분석을 위해 각 사업 부분 YOY대비해서 살펴봤습니다. 그럼 같이 보시죠! Let's Go!
2023년 vs 2024년 4분기 실적 비교
항목 | 2023년 4분기 | 2024년 4분기 | 변화율 (YoY) |
총매출 | $86.31B | $96.47B | 12% |
구글 서비스 매출 | $76.31B | $84.09B | 10% |
구글 클라우드 매출 | $9.19B | $12.00B | 30% |
총 영업이익 | $23.69B | $30.97B | 31% |
영업이익률 | 27% | 32% | +5p 증가 |
순이익 | $20.69B | $26.54B | 28% |
EPS (주당순이익) | $1.64 | $2.15 | 31% |
매출, 순이익, EPS 모두 2024년에 강한 성장을 한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왜 구글주가는 시간 외에서 7.5% 정도 빠지고 있는 걸까요?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섹터 별로 좀 더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2024년 EPS 8.04 불로 계산한 주가수익비율은 23.63배입니다.
2023 vs 2024 사업 부문별 실적 비교
검색 광고와 유튜브 광고 성장 지속적입니다. 구글 클라우드매출은 흑자전환 후 30% 성장했습니다. 이를통해 AI 기반 데이터 수요 증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경쟁 심화로 네트워크 광고는 매출 감소가 일어났습니다. 이는 틱톡과 메타 등 경쟁사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투자 계획 비교 (2023 vs 2024 vs 2025)
항목 | 2023년 | 2024년 | 2025년 계획 |
AI 투자 | Gemini AI 개발 | AI 검색 확대 | AI 데이터센터 확대 |
클라우드 투자 | AI 기반 GCP 최적화 | 엔터프라이즈 AI 확대 | 기업 AI 시장 선점 목표 |
데이터센터 | 서버 최적화 | TPU 기반 인프라 확충 | 글로벌 확장 |
R&D 비용 | $39.5B | $45.4B | $50B+ 전망 |
CapEx (자본 지출) | $31.5B | $32.2B | $75B (대폭 증가) |
올해 투자계획은 "AI & 클라우드에 역대급 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펙스는 다른 테크기업 가령 MS나 메타 수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투자할 계획입니다. 투자자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은 2026년 투자계획과 방향인데 아직까지는 공식적으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딥시크 사태로 인해 AI 데이터센터에 집중투자했던 테크기업들이 내부적으로 방향을 정립하는 중인 것으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주주 환원 정책 (2023 vs 2024 vs 2025) 변화
항목 | 2023년 | 2024년 | 2025년 계획 |
자사주 매입 | $61.5B | $70B | 지속 확대 |
배당 정책 | X | 최초 정기 배당 ($2.4B) | 배당 확대 가능성 |
2024년 4분기에 처음으로 배당금 지급하였습니다. 배당성향은 2.4%정도 나옵니다. 연도별로 분석하면서 제 개인적으로는 제일 흥미로운 섹터입니다. 자사주매입 이외에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정책의 확대가 구글의 벨류에이션을 좀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인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023년 4분기 실적발표 정리
YOY로 분석한 내용을 긍정적 변화: pro 와 해결해야 할 과제 con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긍정적 변화 | 해결해야 할 과제 |
AI 검색 & 광고 최적화 → 수익성 강화 | 네트워크 광고 감소 → Meta, TikTok과 경쟁 |
클라우드 매출 & 수익성 대폭 개선 | Other Bets(자율주행 등) 적자 확대 |
AI 기반 CapEx 확대 → 미래 성장 동력 확보 | AI 경쟁 심화 (MS, OpenAI, Meta) |
주주 환원 강화 (배당 + 자사주 매입 확대) | AI & 데이터센터 투자 비용 부담 |
2024년 대비 AI & 클라우드 중심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며 강한 성장 지속 전망 유지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P/E 23.63배 밸류에이션이 매력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배당이 1분기에도 지속되는지 확인할 부분이며 구글 지미나이가 얼마나 AI 검색시장에서 선두에 있는 쳇지피티와 후발주자 에져의 견제에도 얼마나 더 성장할 수 있을지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전통적으로 인터넷 강고 시장에서 시장우위에 있었지만 AI 검색 및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마켓쉐에가 경쟁사대비 약한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실적 발표 후 주가가 하락으로 방향을 잡지 않았나 싶습니다. 좀 더 시간을 두고 성장성을 파악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그럼 다음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해외주식 > 기업분석 더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아마존(Amazon) & AWS 투자 분석: 클라우드 시장 변화와 신중한 접근 필요성 (0) | 2025.02.10 |
---|---|
AMD 2024 실적 분석 – AI 시장 격변 속 투자 전략은? (1) | 2025.02.06 |
팔란티어 Q4 2024 실적 분석: AI 혁신과 폭발적 성장, 이제 시작인가? (3) | 2025.02.04 |
이번 주 글로벌기업 실적 발표 총 정리(2월 3일~7일) (0) | 2025.02.03 |
AI 매출 175% 증가, 그런데 MS 주가는 왜 하락했을까? (2)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