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03

Firefly가 살린 실적, 하지만 주가는 13% 폭락… Adobe의 미래는?

Adobe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하였습니다. AI 기반 전략을 강화하면서 기록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특히 Firefly, AI Assistant, GenStudio 등의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번 실적 발표를 통해 Adobe의 주요 성과와 향후 전략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럼 Let's Go! Adobe 2025년 1분기 실적 요약Adobe는 2025년 1분기에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며 다음과 같은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총 매출: 57.1억 달러로 전년 대비 11% 증가GAAP 희석 주당순이익(EPS): 4.14달러, 비 GAAP EPS: 5.08달러로 전년 대비 13% 증가운영 현금 흐름: 24.8억 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Digital Media 매출: 42.3억 달러로 전년..

건강기능식품, 이제 다이소·CU에서도! 어떤 제품을 팔까?

최근 다이소와 편의점 CU가 건강기능식품(건기식) 판매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유통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기존에 약국과 온라인 중심이던 건기식 시장이 오프라인 매장으로 확대되면서 소비자들은 더욱 다양한 채널에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약사들의 반발과 건기식 시장 특성상 다이소와 편의점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다이소, 건강기능식품 판매 재개… 무엇을 판매하나?다이소는 대웅제약과 종근당건강과 협업하여 건기식 판매를 지속하기로 결정했다.📌 판매 제품비타민C, 비타민B, 비타민D 등 비타민류루테인, 밀크씨슬, 프로폴리스, 콜라겐 등 기능성 제품오메가3, 유산균, 홍삼 등 다양한 건강 보조제📌 가격대제품당 3,000~5,000원대로, 시중 건기식보다 ..

카테고리 없음 2025.03.14

10억 넘는 아파트도 상속세 ‘0원’? 달라진 상속세 핵심 정리!

정부가 상속세 개편안을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속세 과세 방식이 유산총액 기준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또한, 배우자 및 자녀 공제 금액이 확대되어 다자녀 가구일수록 상속세 부담이 줄어드는 구조로 개편되었습니다.✅ 주요 개편 내용✔ 유산취득세 방식 도입 → 기존에는 사망자가 남긴 전체 재산(유산총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였으나, 개편 이후에는 상속인이 개별적으로 물려받은 금액에 따라 과세됩니다.✔ 배우자 공제 확대 → 기존 5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배우자가 법정 상속분(자녀 1명의 1.5배)보다 더 많은 재산을 상속받더라도 10억 원까지는 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최대 공제한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30억 원입니다.✔ 자녀 공제 신설 → 자녀 1명당 5억 원씩 ..

금융꿀팁 2025.03.13

비만치료제,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삭센다·위고비·마운자로 비교

한국 비만치료제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존 시장 1위였던 삭센다의 독주 체제가 깨지고, 새로운 강자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4년 10월 위고비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 구도가 변화했으며, 여기에 글로벌 매출 2위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까지 2024년 5월경 국내 시장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체중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한국 시장에서, 글로벌 제약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 한국 비만치료제 시장의 변화그동안 한국 비만치료제 시장은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삭센다가 주도하고 있었습니다. 2023년 기준, 삭센다는 38%의 시장 점유율(연간 처방액 약 714억 원)을 기록하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그 뒤를 이어..

금융꿀팁 2025.03.12

이번 주 글로벌기업 실적 발표 총 정리(3월10~13일)

이번 주(2025년 3월 10일~3월 13일) 실적 발표 기업이 많지는 않지만, 중요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네. 일별로 정리하고, 간단한 기업 개요와 투자자들이 주목할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럼 Let's Go!  📅 2025년 3월 10일 (월)오라클 (ORCL):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포인트: 클라우드 매출 성장 여부 확인.📅 2025년 3월 12일 (수)어도비 (ADBE): 크리에이티브 소프트웨어 (Photoshop, Acrobat) 시장 강자.📌 포인트: 구독 모델 성장과 AI 기능 도입 영향.PDD Holdings (PDD):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 운영.📌 포인트: 중국 내 소비 회복 여부.달러트리 (DLTR): 미국 저가 유통 체인.?..

M7이 투자 멈추면 엔비디아는 어떻게 될까? 매출 구조 긴급 분석

엔비디아(NVIDIA)는 2025년에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최강자로 자리 잡을 것인가? 현재 시장은 확신을 갖지 못한 듯합니다. 포워드 P/E(Forward PER) 20배 수준이라는 숫자가 이를 방증합니다. 고평가 논란이 있던 주식이었으나 이제는 시장조차 엔비디아의 성장 속도를 가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엔비디아의 성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그 해답은 M7 기업들, 즉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메타(Meta), 아마존(Amazon), 구글(Google), 테슬라(Tesla), 애플(Apple)**이 쥐고 있습니다.  이전에 실적관련해서 올렸던 포스팅에 이어 엔비디아 매출에서 얼마나 많은 비중을 빅테크가 차지하고 있는지 분석해봤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L..

거품이 빠지자 드러난 좀비기업 – 금양 사태는 시작일 뿐이다

투자는 감이 아니라 숫자로 판단해야 한다. 금양(12,220원 ▼ 840 -6.43%) 사례는 숫자를 무시한 투자자들이 어떤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1. 코스피200 편출 – 패시브 자금 213억 이탈금양이 불성실공시법인 및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서 코스피200, 코스피100, KRX100 등 주요 지수에서 퇴출됐다. 이는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펀드에서 자동으로 213억 원가량이 매도된다는 뜻이다. 단순한 숫자로 보이지만, 이는 유동성이 줄어들고 주가 하방 압력이 커진다는 의미다.투자자들은 항상 "이 종목이 패시브 자금의 영향을 받는가?"를 체크해야 한다. 숫자를 보고 투자하는 습관이 필요하다.2. 최대주주의 주담대 – 마진콜 리스크류광지 금양 회장은 본인 지분 중 14%를 담보로 ..

카테고리 없음 2025.03.11

2월 수출입 분석 – 잘나가는 섹터 vs. 부진한 섹터, 글로벌 투자 기회는?

2025년 2월 대한민국의 수출입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적인 흐름과 주요 품목 및 지역별 특징을 정리하여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럼 Let's Go!  1. 총괄 분석수출: 526.0억 달러 (+1.0% YoY)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며 2월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반도체 감소에도 불구하고 IT 및 자동차, 바이오헬스 부문이 성장 견인.수입: 483.0억 달러 (+0.2% YoY)에너지(원유, 가스, 석탄) 수입 감소 (-21.5%)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장비, 석유제품 등 비에너지 부문 수입 증가 (+7.4%).무역수지: +43.0억 달러 흑자1월(-19억 달러 적자)에서 급반등하며 2월까지 누적 24억 달러 흑자 달성.2. 주요 품목별 수출..

실손보험, 어디까지 보상될까? 백내장 수술부터 본인부담상한제까지!

안녕하세요! 요즘 실손보험과 관련한 분쟁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특히 백내장 수술,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 티눈 제거술 등과 관련해 보험사와 고객 간의 갈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어떤 경우 실손보험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명확해졌으니,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백내장 수술, 무조건 입원비 보장될까?백내장 수술을 받고 입원하면 실손보험에서 입원비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지만, 실제 입원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입원비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입원비를 받을 수 있는 경우✔ 수술 후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했거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여 의료진의 관리가 이루어진 경우✔ 의료기록에 입원이 반드시 필요했던 사유가 구체적으로 기재된 경우❌ 입원비를 받을 수 없는 경우✖ 단..

금융꿀팁 2025.03.10

농심, 매출 늘려도 주주는 배당 없는 짜파게티?

농심이 오는 17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을 포함한 17개 브랜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고 밝혔다. 신라면의 경우 950원에서 1000원으로, 새우깡은 1400원에서 1500원으로 조정된다. 이는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 만의 인상이며, 2023년 정부 압박으로 일시적으로 인하했던 가격을 다시 원상복구하는 셈이다.농심의 가격 인상 배경은 원재료비 상승과 환율 변동이다. 실제로 밀가루, 팜유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글로벌 시장에서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원·달러 환율도 1300원대를 오르내리며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농심 관계자는 "그동안 원가 절감과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며 가격 인상을 최대한 억제했지만,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이..

금융꿀팁 2025.03.10
반응형